본문 바로가기

프레게의 동일성 개념에 대하여 최근 지시 문제를 고민해볼 필요를 느껴 프레게의 를 다시 좀 읽어보았는데(다 읽은 것도 아닌...) 뭔가 다른 게 좀 보이더라고요. 지시에 대한 프레게의 입장을 이해하기 위해서 전 동일성에 대한 프레게의 입장을 좀 더 제대로 이해할 필요가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거든요. 프레게는 본인이 에서는 동일성이 이름들 사이의 관계인 것처럼 다뤘지만, 동일성을 그렇게 취급해서는 안 된다고 에서 진단하죠. 동일성은 이름들 사이의 관계일 수 없습니다. “a=a”와 “a=b”는 다르기 때문입니다. 이름들 사이의 관계라면 “a=b” 또한 “a=a”와 다르지 않아야 하는데, 그것이 인식적인 차이든 무엇이든 차이가 있으며, 이런 차이를 이름들 사이의 관계로, 표현상의 문제로 여기는 한 이 차이는 설명될 수 없습니다. 때문.. 더보기
버클리의 시각이론과 철학 최근 남들 욕만 한 거 같아서 좀 더 긍정적이고 생산적인 글을 한번 써보았습니다... 버클리의 을 읽었는데 이 책 참 흥미롭습니다. 일단 제목부터 분석해보죠. 원래의 제목은 “The Theory of Vision, or Visual Language, shewing the immediate presence and providence of a Deity, vindicated and explained”입니다. 일단 “시각이론”은 그가 예전에 출판한 “새로운 시각이론”을 가리킵니다. 과거에는 “새로운” 것이었겠지만, 이제는 새롭지 않으니 그냥 “시각이론”이라고 지칭하는 것이죠. 그런데 그 다음 구절이 흥미롭습니다. 버클리는 자신의 시각이론이 “시각언어”와 다르지 않다고 말할 뿐만 아니라, 그것이 신의 섭리와 직.. 더보기
올바른 "흄주의"란? 오늘날 스스로를 ‘흄주의’로 부르는 일군의 철학자들이 있습니다. 그런데 이들이 어떻게 “흄주의”를 표방할 수 있는 것이지, 그것이 정당할 수 있는 것인지를 문제 삼을 수 있습니다. 물론 그들이 흄을 자신들의 상징으로 삼는 것은 자의적이거나 임의적인 것이 아닙니다. 그들이 생각하기에 흄의 철학적 작업과 자신들의 철학적 작업이 비슷한 면이 있으니 스스로를 그렇게 생각하는 것이죠. 문제는 이게 어떻게 가능할 수 있냐는 겁니다. 현대의 흄주의자들은 자신들이 흄을 계승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. 아마도 그 근거는 법칙의 실재를 부정하고, 경험 가능한 규칙성에 근거하여 철학을 수행하는 흄의 작업을 그들이 계승하고 있다고 생각해서 일겁니다. 아마도 이런 식의 생각에 매우 익숙하실 거라고 생각합니다. 법칙에 대한 가능한 .. 더보기